Posted On

댄스스포츠를 즐기고 있는 남녀커플

댄스스포츠 용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주요한 댄스스포츠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얼라이먼트(Alignment) = 방향 및 방각의 설정

얼라이먼트란, 발(또는 양 발)을 댄스스포츠 연습실 안의 방각으로 향하여 스텝할 것인가의 방향에 관한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면함: facing」, 「배면함 : Backing」, 「가르킴: Pointing」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처음 앞의 두 용어는 몸에 대하여 말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실제로 발에 관한 것이다. 몸의 위치는 회전량의 항에서 포함되어 있다. 단, 고급 피겨(Figuer)에서는 이 항에서 설명할 때도 있다. 이 항에서의 용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즉, 「면한다」와 「배면한다」라는 것은 양 발과 몸의 방향이 일치할 때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의 발은 보통 앞 또는 뒤로 스텝한다. 「가르킴」이란, 양 발과 몸의 방향이 각각 다른 방각으로 하여 옆으로 스텝(후퇴의 회전 제2보)할 때에 사용하는 용어이다.

 

▣ 라인 오브 댄스 또는 디렉션 (Line of Dance or Direction: 춤의 방향선, 약자 LOD)

「LOD」란, 실내(Ballroom)에서 시계바늘이 돌아가는 반대의 방향(The Ballroom in an Anti-Clockwise Direction)으로 돌아가면서 춤을 추는 방향선을 말한다.

 

▣ 디렉션(Direction)

실내에 관계하여 움직이는 발의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① 샤세 프롬 피피(chasse from PP)에서 제1보가 벽사로 면하고 있지만, 발의 진행은 LOD에 따라서 스텝한다.

② 오픈 텔레마크 인투 크로스 헤지테이션(Open Telemark into Cross Hesitation)에서 여자가 오픈 텔레마크를 마치는 제3보가 LOD로 가르키고 있으나, 몸의 이동은 벽사로 진행한다.

 

2. 어메르가메이션(Amalgamation)

여러 가지의 피겨를 합리적으로 접속하는 연결법을 말한다.

 

3. 어마운트 오브 턴(Amoalgamation)

각 피겨 중의 1보 또는 여러 스텝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의 분량을 회전량이라 한다. 즉, 회전량은 발의 위치를 기준(몸은 아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1/8, 1/4, 3/8, 1/2, 5/8, 3/4, 7/8, 1회전

 

4. 샤세(Chasse)

Q, Q, S로서, 제1보를 옆으로 열고 제2보를 제보에 닫고 제3보를 옆으로 열든지, 또는 앞 또는 뒤로 여는 3보 일련의 운동을 말한다. 이 샤세를 Q&Q로 할 때는 신코페트 샤세(Syncopate Chasse)라고 한다.

 

5. 샤세 턴(Chasse turn)

퀵 스텝의 전형적인 회전으로서 각 샤세를 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샤세턴이라 한다.

 

6. 클로즈드 턴(Closed Turn)

왈츠의 전형적인 회전으로서, 각 스텝의 리듬 템포가 균일(1,2,3)한 운동으로 전반 또는 후반에서 3/4이 회전을 할 때 제3보에서 양 발을 모으면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7. 시비엠(CBM:Contrary Body Movement의 약자)

전진 또는 후퇴할 때, 그 스텝하는 다리와 반대로(상체 허리 및 어깨를 포함) 진행하는 운동을 말한다. 이는 회전 또는 커브(Curve) 등의 피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운동으로서, 그 회전의 제1보에서 사용한다.

 

8. 첵크(Check)

어느 방향으로 스텝한 발을 정지하고, 다른 발에 체중을 옮긴 뒤에 진행하는 방향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9. 폴러웨이 포지션(Fallaway Position)

남녀가 PP에서 다같이 후퇴하는 것을 말한다.

 

10. 피겨(Figure)

여러 개의 스텝이 일정하게 조합하여 만든 족형으로서 춤의 단위를 말한다.

 

11. 풋워크(Foot Work: 발의 사용법)

각 스텝마다 스텝을 할 때, 그 발바닥의 어느 부분을 어떠한 방법으로 마루바닥에 접촉하도록 하는가에 대한 발의 사용법을 말한다.

이 풋워크란 마루바닥에 접하는 발바닥의 부분에 대한 「항」이나, 무빙 댄스(Moving Dance)에서는 토(Toe)와 힐(Heel)의 용어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토」란 용어에는 볼(Ball)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기 바란다. 전진스텝은 힐로 하지만, 발바닥 전체(Whole Foot)가 마루바닥에 접하고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힐」 다음에는 플렛(Flat)이라고 구태여 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풋워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정한다.

① 힐(Heel): 발 뒷꿈치 부분, 약자로는 「H」
② 토(Toe) : 힐을 제외한 앞 발가락 부분, 약자로는 「T」
③ 볼(Ball) : 힐을 제외한 발바닥 부분(발가락도 포함하여) 약자로는 「B」
④ 홀풋(Whole Foot): 발바닥 전체, 약자로는 「W.F」
⑤ 풋 인사이드 에지(Foot Inside Edge): 발의 안쪽 부분, 약자로는 「F.I.E」
⑥ 토 인사이드 에지(Toe Inside Edge) : 발가락 안쪽 부분, 약자로는 「T.I.E」
⑦ 볼 인사이드 에지(Ball Inside Edge) : 볼의 안쪽 부분, 약자로는 「B.I.E)
* 드물게는 「아웃사이드 에지」란 용어도 사용함

 

12. 힐 피보트(Heel Pivot)

우족을 후퇴하면서 발의 뒤꿈치로 좌회전을 하는 동안, 좌족은 체중을 주지 않고, 우족 T로 우족에 모은 뒤 다시 전진하는 회전을 말하며, 이러한 회전을 일명 콤펙트 샤세(Compact Chasse : 조밀한)라고 한다. 이때 여자는 샤세 턴이다.

 

13. 힐 풀(Heel Pull)

한쪽 발(좌측)이 후퇴할 때 다른 발(우족)은 힐로 끌어당기는 사이에 좌족의 힐로 우회전을 하고, 우족은 좌족에서 약간 떨어지게 옆으로 하여 좌족과 평행하게 스텝하고, 다음에 좌족을 우족 쪽으로 브러쉬(Brush)하면서 전진하는 회전법으로서 일명 풀 스텝(Pull Step) 또는 풀 턴(Pull Turn)이라 한다.

14. 힐턴(Heel Turn)

후퇴하는 발(우족)이 뒤꿈치로 회전을 하는 사이에 다른발(좌족)의 힐을 끌어당겨 회전하는 발(우족)에 평행하게 모으면서 회전의 끝에 체중을 옮긴 뒤, 회전한 발(우족)이 다시 전진 또는 옆으로 진행하는 회전을 말한다.

 

15. 호버(Hover)

상체를 충분히 업(UP)하고, 잠시 정지한 상태로 유지하는 사이에 상체를 오버턴(Over Turn)을 하는 피겨의 일부로써 왈츠나 퀵 스텝의 호버 코르테, 폭스 트로트의 호버 훼저 또는 내츄럴 트위스트 턴의 제5, 6보 등에서 사용하는 테크닉(Technique)이다.

 

16. 로워(Lower)

라이즈의 상태에서 올린 힐을 다시 천천히 내리면서 마루바닥에 접촉하여 정상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운동을 말한다.

 

17. 노풋 라이즈(No Foot Rise)

힐을 올리지 않고, 상체와 다리만을 신장하여 라이즈를 하는 것으로 후퇴의 제1보와 제2보의 사이에서 사용한다. 즉, 몸의 라이즈는 있으나 발의 라이즈는 없다는 것을 말한다.

18. 오픈 피니쉬(Open Finish)

피겨의 후반에서 양 발을 모으면서 끝나는 최종 스텝을 모으지 않고, OP에 CBMP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마치는 스텝의 위치를 오픈 피니쉬라 한다.

 

19. 오픈 포지션(Open Position)

쇼올더 리딩을 수반하면서 스텝할 때의 위치로써, 폭스 트로트의 훼저 스텝의 제2보와 탱고의 우족 전진 워크 또는 우족 후퇴 워크 등과 같은 것이 오픈 포지션이다.

 

20. 오픈 턴(Open Turn)

폭스 트로트의 전형적인 회전으로서, 클로즈드 턴이나 샤세 턴과 같이 제3보에서 양 발을 클로즈하지 않고 패스(Pass)하여 회전하는 것을 오픈 턴이라 한다. 즉, 제1보를 전진하면서 CBM에 의하여 회전을 시작하고, 제2보를 옆으로 스텝하면서 회전을 계속하고, 제3보는 후퇴 또는 옆으로 스텝하면서 회전하는 방식을 오픈 턴이라 한다. 이때 여자는 힐 턴한다.

 

21. 아웃사이드 파트너(Outside Partner : OP)

상체의 콘텍트(Contact)를 바르게 유지하면서 파트너의 외측으로 CBMP하여 전진하는 것이다. 파트너의 좌외측으로 CBMP하여 전진할 경우에는 좌OP가 된다.

22. 오버턴(Over Turn)

정규의 회전량보다 더 많이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23. 피보트(Pivot)

피보트란, 체중을 주고 있는 한 발(뒤 또는 앞쪽으로)로 성립되는 일시점 회전을 말한다. 이 때 다른 발은 CBMP로 유지하고 있으며, 회전하는 발은 볼로 회전을 하나 결코 힐은 들지 않는다. 우회전의 피보트는 좌족이 후퇴하면서 시작한다.

 

24. 피보팅 액션(Pivoting Action)

피보트와 같은 회전이지만, 회전을 하지 않은 다른 발이 뒤쪽에 CBMP로 유지하지 않고, 뒷쪽의 약간 좌측으로 스텝하는 일시점 회전의 동작을 말한다. 이 때는 우족을 전진하여 시작하며, 내츄럴 피보트의 여자 제4보가 바로 피보팅 액션이다.

 

25. 포인팅(Pointing)

「면하다」와 「배면하다」에서는 양 발과 몸의 방향이 일치하지만 포인팅이란 후퇴하는 제2보가 회전을 하면서 어느 방향을 향하여 스텝을 할 때, 양 발과 몸의 방향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을 때에 제2보를 포인팅이라 한다.

26. 포이즈(Poise)

양발에 관련한 상체의 위치로써, 춤추고 있는 사이에 파트너와의 상체와 발의 밸런스(Balance)를 바르게 취하여 외관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27. 피피(PP: Promenade Position의 약자)

남자의 우측 상체와 여자의 좌측 상체의 위치를 유지한 채, 남자의 좌측 상체와 여자의 우측 상체가 V자형으로 열려 있는 위치를 말한다. 위와 같은 위치를 반대로 하면, CPP(Counter PromenadePosition)이라 한다.

 

28. 라이즈 앤드 폴(Rise and Fall)

「무빙 댄스」에서 사용하는 신체의 반복되는 파동운동을 말한다.

 

29. 루틴(Routine)

주로 시범(Demonstration)이나 경기대회 또는 메달 테스트(Medal Test)등의 목적으로서, 많은 피겨를 합리적으로 연결하여 조합한 것을 말한다.

 

30. 런닝 피니쉬(Running Finish)

주로 퀵 스텝에서 어떤 피겨를 사용한 끝에 후퇴하면서 런닝 (Q, Q, S, S)하여 우회전으로 마치는 피겨의 일부이다. 직잭, 백, 로크 앤드런닝 피니쉬, 런닝 파이트 턴의 후반에 사용한다.

31. 숄더/사이드 리딩(SL: Shoulder or Side Leading)

진행하는 발과 같이 어깨가 선행하는 스텝을 말한다. 그러나 이 때는 어깨만이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어깨와 허리를 함께 선행하여야 하며, 발의 진행은 비스듬하게 한다.

 

32. 스핀(Spin)

스핀은 2보 이상 성립되어 양 발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이동성 회전으로서, 체중을 지지하고 있는 볼로 회전을 행한다. 항상 좌족은 후퇴하며 우족은 전진하면서 회전을 하고, 좌족은 피보트가 되나 우족은 피보팅 액션이 된다.

 

33. 스웨이(Sway)

춤추고 있는 사이에 전신이 일직선이 되어 좌 또는 우로 경사가 지는 것을 스웨이라고 한다. 이를 바디 스웨이 (Body Sway)라고도 한다.

 

34. 스위블(Swivel)

체중을 주고 있는 발의 볼로 회전을 하는 것을 말한다.

 

35. 템포(Tempo)

음악의 연주 속도를 말한다. 스포츠댄싱에서는 1분간을 기준으로 하여 몇 소절의 속도로 연주하는가를 정하고 있다.

36. 타임(Time)

음악의 각 소절을 구성하는 박자의 수를 말한다. 즉 왈츠는 3/4박자, 폭스 트로트는 4/4박자 등으로 표시한다.

 

37. 토 피보트(Toe Pivot)

양 발을 모으면서 체중을 준 한 발의 토로 회전을 하고, 다른 발이 전진하는 일시점 회전을 말한다.

 

38. 업(Up)

「업」은 「라이즈」의 정점이며 「라이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참조: 댄스스포츠의 에티켓

 


“댄스스포츠 용어” 에 하나의 답글

  1. 댄스스포츠의 이해 2편 – Dance Sports

    […] 참고: 댄스스포츠 용어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opyright@2024, All Rights Reserved